우리나라의 事例
平安北道 定州에서 머슴살이하는 청년이 있었습니다.
눈에는 聰氣(총기)가 있고,
動作(동작)이 빠르고 聰明(총명)한 청년이었습니다.
아침이면 일찍 일어나 마당을 쓸고,
일을 스스로 찾아서 했습니다.
그는 아침이면 주인의 요강을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려 다시 안방에 들여 놓았습니다.
주인은 이 청년을 머슴으로 두기에는 너무 아깝다고 생각하고
그 청년을 평양의 숭실대학에 입학시켜 주었습니다.
공부를 마친 청년은 고향으로 내려와
오산고교 선생님이 되셨습니다.
요강을 씻어 숭실대학에 간 그분이
민족의 독립운동가 고당 조만식 선생님이십니다.
후에 사람들이 물었습니다.
머슴이 어떻게 대학에 가고, 선생님이 되고, 독립운동가가 되었습니까? 하고
그러자 선생은
“주인의 요강을 정성들여 씻는 정성을 보여라.” 그렇게 대답하셨답니다.
남의 요강을 닦는 겸손과 자기를 낮출 줄 아는 아량!
그것이 조만식선생님을 낳게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미국의 머슴 이야기
미국의 남북전쟁이 터지기 몇 해 전의 일이랍니다.
오하이오 주의 대농부호인 테일러(Worthy Tailor)씨 농장에
한 거지 소년이 굴러 들었습니다. 17살의 "짐"이었습니다.
일손이 많이 필요한 이 집에서는 그를 머슴으로 고용했습니다.
그러나 3년 뒤,
자기의 외동딸과 "짐"이 서로 사랑한다는 것을 알게 된 "테일러" 씨는
몹시 노하여 "짐"을 빈손으로 때려서 내쫓았습니다.
그 후 35년이 지나 낡은 창고를 헐다가
"짐"의 보따리를 발견했는데
한 권의 책 속에서 그의 본명을 찾았답니다.
"- James A. Garfield - . . ."
현직(그 당시) 미국 대통령(20 대)이었습니다.
그 동안 "짐"은 "히람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했고
육군 소장을 거쳐 하원 의원에 여덟번 피선된 후 백악관을 차지했던 것입니다.
* 현대를 이끄는 경영철학은 바로 "서번트 리더쉽(servant leadership)"입니다.
"서번트 리더쉽"이란 머슴, 하인 즉 ''종의 리더쉽'' 이라는 뜻입니다.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춘(Fortune)''에 의하면
미국 내 100대 기업 중 상당수의 기업들은
이 "서번트 리더 쉽"을
기본철학, 경영이념으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
'마음의 양식(좋은 글) > 친구가 보내준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가까이 있으면 귀한 줄 모른다 (0) | 2025.04.27 |
---|---|
인생 사용법 (0) | 2025.04.25 |
인생 3가지 깨달음 (0) | 2025.04.21 |
부처님 오신날 연등(燃燈)의 의미 (1) | 2025.04.19 |
세상의 법칙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