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음의 양식(좋은 글)168

인생 사용법 ■인생 사용법■ 가진 게 없으면 부지런하기라도 하라.그러면 언젠가는 가진 게 많은 사람이 되어 있습니다.못하는 게 많으면 노력이라도 하라.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어느 날 할 수 있는 게 많은 사람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부족한 게 많으면 성실하기라도 하라.계속 성실하다 보면 좋은 결실을 맺게 됩니다.내 인생은 왜 이럴까 투정 부릴 시간에 멋진 인생을 만드는데 값지게 사용하라. 그러면 당신의 인생은 잘될 수밖에 없습니다.■인생사 일체 유심조(人生事 一切 唯心造 )■가뭄이 계속되자 모든 마을 사람들이 비가 오게 해달라고 기우제를 지내기로 했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였는데 오직 한 소년은 우산을 들고 왔습니다.이것이 믿음입니다. 아기를 공중에 던지면 아기는 어른이 받아줄 것을 알기 때문에 아기는 까르르 웃.. 2025. 4. 25.
머슴 이야기 우리나라의 事例平安北道 定州에서 머슴살이하는 청년이 있었습니다.눈에는 聰氣(총기)가 있고,動作(동작)이 빠르고 聰明(총명)한 청년이었습니다.아침이면 일찍 일어나 마당을 쓸고,일을 스스로 찾아서 했습니다.그는 아침이면 주인의 요강을 깨끗이 씻어서햇볕에 말려 다시 안방에 들여 놓았습니다.주인은 이 청년을 머슴으로 두기에는 너무 아깝다고 생각하고그 청년을 평양의 숭실대학에 입학시켜 주었습니다.공부를 마친 청년은 고향으로 내려와오산고교 선생님이 되셨습니다. 요강을 씻어 숭실대학에 간 그분이민족의 독립운동가 고당 조만식 선생님이십니다.후에 사람들이 물었습니다.머슴이 어떻게 대학에 가고, 선생님이 되고, 독립운동가가 되었습니까? 하고그러자 선생은“주인의 요강을 정성들여 씻는 정성을 보여라.” 그렇게 대답하셨답니다... 2025. 4. 22.
인생 3가지 깨달음 이 세 가지를 깨닫는 순간나는 내가 어떻게 살아야행복해지는가를 알게 되었습니다.첫째는내가 상상하는 것 만큼세상 사람들은나에 대해 그렇게 관심이 없다는 사실입니다.보통 사람은제각기 자기 생각만 하기에도 바쁩니다.남 걱정이나 비판도 사실 알고 보면 잠시 하는 것입니다.그렇다면 내 삶의 많은 시간을남의 눈에 비친 내 모습을걱정하면서 살 필요가 있을까요?둘째는이 세상 모든 사람이나를 좋아해 줄 필요가 없다는 깨달음입니다. 내가 이 세상 모든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데어떻게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나를 좋아해 줄 수 있을까요?그런데 우리는누군가가 나를 싫어한다는 사실에얼마나 가슴 아파하며 살고 있나요?모두가 나를 좋아해 줄 필요는 없습니다.그건 지나친 욕심입니다.누군가가 나를 싫어 한다면자연의 이치인가 보다 하고 그냥.. 2025. 4. 21.
부처님 오신날 연등(燃燈)의 의미 부처님오신날 연등에 담긴 뜻은…연꽃모양이란 뜻은 아닙니다.연등(燃燈)미혹과 무명을 밝히는 '지혜의 불' 상징석가모니 부처님 당시 난타(難陀)라는 가난한 여인이 있었다. 이 여인은 부처님을 위해 공양을 올리고 싶었지만 가진 것이 없어 구걸로 얻은 몇 푼의 돈으로 작은 등과 기름을 사서 불을 밝혔다. 시간이 흘러 새벽이 다가오자 왕과 귀족들이 밝힌 호화로운 등은 꺼졌으나 난타의 등불만은 홀로 꺼지지 않고 주위를 밝게 비췄다.석가모니 부처님은 '가난하지만 마음 착한 여인이 정성으로 켠 등불은 꺼지지 않는다'며 제자 아난에게 이 여인이 훗날 성불할 것이라고 말한다. 현우경(賢愚經)의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에 나오는 유명한 빈자일등(貧者一燈) 이야기다.전국 사찰은 해마다 부처님오신날을 앞두고 연등(燃燈)을 사찰 .. 2025. 4. 19.
세상의 법칙 ​"세상 모든 것은 왔다가 간다.​올 때가 되면 오고,갈 때가 되면 간다.​저마다 자기가 와야 할 때정확히 오고,​갈 때가 되면정확하게 돌아간다.​계절도,밤과 낮도,​바람도,구름도,​사람도,인연도,​일도,돈도,​명예도,건강도,​모든 것이 전부 다 인연따라 왔다가인연이 다하면 반드시 가고야 만다.​그것이 세상의 법칙이다.​이를 생사법(生死法),생멸법(生滅法)이라고 한다.​생겨난 모든 것은 멸할 수밖에 없다는,​제행무상(諸行無常),제법무아(諸法無我)의 법칙이다.​지혜로운 이는 바로이러한 진리의 법칙대로 산다.​올 때는 오도록 허용해 주고,갈 때는 가도록 허락해 준다.​올 때 더 많이 안 왔다고괴로워하지 않고,​갈 때 왜 벌써 가느냐고따지지 않는다.​모든 것은 순리대로왔다가 간다는 것을 알기에,​언제 떠날 지.. 2025.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