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종작물 알아보기/양념류(파,마늘,생강,부추,참깨 등)46 토종 봉동생강 파종하기 매년 생강을 재배하지만 저장을 하는 데는 실패를 해서 씨앗 받는 농부님들께 토종 생강을 구매해서 심었습니다.올해에도 생강 저장에 실패할 수 있을 수 있어서 봉동의 씨앗받는 농부님들께 3kg을 주문했습니다.주문한 생강이 도착을 했습니다. 도착한 토종생강을 심기 전에 씨생강을 꺾어야 합니다.큰 덩어리로 받은 생강을 심기에 편하도록 나누는 작업을 합니다. 씨앗 받는 농부 토종생강 작목반에서 씨생강(종강)을 꺾는 방법을 알려 주었네요.종강 꺾기는 반드시 손으로 해야 된다고 합니다.제일 약한 가장자리는 3~4마디 정도로 크게 꺾어줘야 하고, 생강 가운데 부분은 강하기 때문에 한마디 또는 두 마디 정도로 꺾어주면 된다고 합니다.꺾은 생강은 반나절 정도 햇빛에 널어주면 좋다고 합니다. 받은 씨생강을 꺾어 주고 햇빛.. 2025. 4. 16. 자가 저장 생강 파종하기 매년 생강 저장에 실패를 하다가 지난해 가을 생강저장 방법을 검색과 농사 선배들의 저장방법을 확인해 보고 따라 해 보았습니다.결과는 반은 성공을 해서 약 1.6kg의 생강을 씨생강으로 건졌습니다.1.6kg 중 반은 생강촉이 올라왔고, 반은 생강촉이 올라 오지 않았지만 건강한 상태의 생강입니다. 직접 저장했던 생강들을 오늘 파종했습니다.파종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수확한 생강 중 작은 것들을 골라서 저장을 하였기 때문에 쪼개지 않고 바로 심으면 됩니다. 생강 파종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제가 하는 방법은 절차가 단순합니다. 지난가을에 생강을 심기 위해 보리를 파종해 놓고 콩깍지로 덮어 두었던 곳입니다.보리 파종 간격은 60~80cm 정도이고 3개의 이랑에 보리를 심었습니다.보리와 보리 사이에 생강.. 2025. 4. 12. 생강 저장 결과 확인하기 생강을 파종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지난가을에 토종생강을 수확하고 여러 곳에 씨생강을 보관을 하였습니다.우리 집에서 보관 가능한 장소가 어디일까를 확인하기 위해서 보일러실, 다락방 올라가는 계단, 그리고 현관에 각각 보관을 했었습니다.오늘 드디어 개봉을 해 보았습니다.그동안 습기 조절 등 아무런 조치 없이 그냥 방치한 결과입니다. 먼저 다락방을 올라가는 계단 중간에 보관한 생강입니다.이곳에는 2가지 방법으로 보관을 했습니다.하나의 방법은 스티로폼 박스내에 상토와 생강을 켜켜이 쌓고서 신문지 한 장만 덮어놓았고, 다른 방법은 스티로품 박스에 밭의 흙을 햇볕에 건조하여 생강과 켜켜이 쌓아서 보관하는 방법이었습니다.결과는 첫번째 방법인 상토와 신문지 한 장으로 보관한 방법은 생강이 완전히 말라비틀어진 .. 2025. 4. 12. 월동 마늘 풀 관리 월동한 마늘밭의 풀을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매년 고민을 안 할 수 없는 과제입니다.제가 그 동안 마늘밭의 풀을 관리해 온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마늘은 주아를 심은 곳과 난지형에 가까운 홍산마늘, 그리고 한지형 마늘인 의성마늘을 심었습니다.홍산마늘은 겨울이 오기 전에 마늘이 올라온 상태로 겨울을 나고, 의성마늘은 봄이 되어야 마늘이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주아와 주아마늘마늘의 주아를 심는 이유는 병해충과 바이러스의 감염을 낮추고, 씨마늘 생산비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저도 지난해부터 주아를 재배하고 있습니다.1차 연도에 주아를 심고, 2차 연도에 주아에서 나온 주아마늘을 심어 주면 3차 연도에 6쪽 마늘이 만들어집니다. 지난해에 처음 재배했던 홍산마늘은 주아를 심었고, 2013년부터 계속해서 재배해오고 .. 2025. 4. 8. 파의 종류와 효능 시베리아가 원산지인 파는 동양세서는 옛날부터 중요한 채소로 재배되어 왔으나 서양에서는 거의 재배를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2000~3000년 전부터 중국 서부에서 재배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재배되어 왔다고 합니다.파는 백합과의 여러 새살이 식물입니다. 파는 추위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어 한국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겨울에는 잎이 시들고 자라지 않고 있다가 봄이 되면 파란 잎이 나옵니다. 파의 종류별 특징파는 대파와 쪽파 그리고 실파로 구분이 됩니다.대파는 양념재료 및 국물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잎 부분보다는 주로 대(하얀 부분)를 많이 사용합니다.쪽파는 출하지역과 재배방법에 따라 조선쪽파(노지재배)와 일반쪽파(터널 및 하우스 재배)로 구분이 됩니다.실파는 맛과 향이 쪽파에 비해 떨어지지.. 2025. 4. 3. 이전 1 2 3 4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