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종32 곡성서리태 곡성서리태는 메주콩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긴 늦는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잎이 푸른색이 많습니다. 서리태는 매년 6월 말경에 직파를 해서 11월 초중순에 수확을 했던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시간이 좀 남아 있네요 2023. 10. 19. 강화메주콩 채종용 강화메주콩이 하루가 다르게 익어갑니다. 콩잎이 노란단풍처럼 변했습니다. 옛날 어릴적에 노란 콩잎으로 짱아찌를 담아 주던 엄마가 생각납니다. 조만간 콩잎이 다 떨어질 것 같네요. 2023. 10. 19. 토종 흰팥 지난 6월30일 직파한 흰팥입니다. 흰팥 직파 후 옥수수 모종을 중간중간에 심어서 혼작으로 키웠습니다. 거름기가 없어서 그런지 얼룩배기찰옥수수는 크게 자라지는 못했네요. 흰팥은 수확해 놓으면 아주 이쁩니다. 곧 수확을 해야겠습니다. 2023. 10. 19. 마지막 꽈리고추 2년전에 나눔받은 토종꽈리고추로 올해 마지막 꽈리고추를 수확했습니다. 20그루 정도 심었는데 우리 가족이 먹기에는 충분했습니다. 꽈리고추 중 일부에서 과피가 검정색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질소와 인산의 결핍에서 오는 현상이며 먹는데는 지장이 없다고 합니다. 2023. 10. 18. 양파모종 옮겨심기(3차) 공생토양에 양파모종을 옮겨심었습니다. 재팥을 심었던 곳에 흰양파와 적양파모종을 옮겨 심고 물을 흠뻑 뿌려주었습니다. 이곳은 별도의 액비나 물을 먼저 뿌리지 않고 고랑만 만들고 모종을 옮겨 심은 다음 물을 충분히 주었습니다. 화면상에 보일지 모르겠지만 재팥을 심은다음 호밀대공으로 멀칭을 해줬었는데 잡초가 거의 나지 않았습니다. 옆에 줄이메어있는 고랑과 비교해 보면 차이가 보일겁니다. 옆에는 호랑이강남쿵을 재배한 곳인데 아래쪽에 보면 잡초가 무성합니다. 호밀대공에 타감작용이 확실히 있는 것 같습니다. 2023. 10. 18.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