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움의 장/토종 작물 재배 관련

토종 농사(1)-땅과 흙을 관찰하자

by 토종군인농부 2024. 2. 12.

농사가 즐거우려면 내 토양이 어떤 토양인지를 잘 알고 거기에 맞는 작물을 심어야 병충해도 줄이고 농사도 즐거워질 수 있다.

농사는 내가 먹고 싶은 작물을 심는 것이 아니라 땅이 좋아 하는 것을 심는다.

농사 지을 환경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작물과 나무를 심어야 즐거운 농사가 되고 환경도 살릴 수 있다.

 

 

토양의 상태 파악하기

 

내 토양이 습한가 건조한가, 비옥한가 척박한가를 진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토양에 자라는 식물을 보고 진단하는 방법

습한 땅에는 띠풀이 많이 자라고 갈대나 억새, 뱀밥이 많이 자라면 물이 잘 빠지지 않는 습한 땅이다. 

 

건조한 땅에서는 망초나 바랭이가 많이 자라고, 습하면서 토양의 균형이 깨진 곳에는 쇠뜨기가 많이 자란다.

관련내용 보기   https://kjhshs0702.tistory.com/entry/

 

2. 토양을 손 길이만큼 파서 흙 색깔로 구분하는 방법

습한 토양은 물이 잘 빠지지 않아 검은색 가까운 진흙이 많고 황토색이라도 통기성이 부족한 찰흙에 가까운 토양이다.

 

흙색이 흰색에 가까우면 건조한 토양이며 잔돌이 많이 있을 수 있다

 

3. 토양의 경사도를 확인하는 방법

경사진 토양의 윗부분은 수분이 부족하고, 아래쪽은 수분과 영양분이 몰려 있기 때문에 위쪽에는 수분과 영양분에 덜 민감한 작물을 심고, 아래쪽에는 민감한 작물을 심어야 한다.

 

경사진 땅을 밭으로 만들때는 이랑을 가로로 내야 영양분과 수분이 위쪽에 조금이라도 머물 수 있다.

 

4. 모래 함유량을 보는 방법

모래와 흙이 적당히 섞여 있는 땅은 사질 양토로 무난한 땅이며. 모래가 적고 흙이 많으면 양토로 수분과 영양분의 함유량이 많다.

 

5. 냄새로 진단하는 방법

건강한 땅의 흙냄새는 상쾌하고 다양한 미생물이 섞여 있어서 좋은 냄새가 난다.

 

썩은 냄새가 나는 흙은 수분이 잘 빠지지 않고 유기물이 썩는 땅이다.

 

6. 손으로 흙을 뭉쳐 보는 방법

흙을 손으로 꾹 뭉쳤을 때 잘 뭉쳐지면 수분 함유량이 높아 진흙이 많고, 잘 흩어지면 모래가 많은 땅이며, 뭉쳐질 듯 말 듯한 흙이 좋은 땅이다.

 

7. 흙을 파보는 방법

딱딱해서 땅이 잘 파지지 않는 곳은 통기성이 부족해 작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 작물은 부드러운 흙에서 싹을 잘 틔우고, 뿌리를 적당히 내린 뒤에는 뿌리의 힘으로 딱딱한 땅으로 들어간다.

 

딱딱한 땅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해살이풀, 특히 우엉같은 뿌리 작물을 심고 두 해를 기다리면 땅속 통기성을 확보하고 우엉 뿌리가 썩으면서 유기물을 확보해 지력을 높일 수 있다.

 

 

토양에 맞는 작물과 두둑

콩과 작물은 습한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건조한 토양에서 콩을 재배할 경우는 두둑을 높이지 말고 평지에 심거나 낮은 두둑을 만들어야 한다.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감자는 습한 토양이라면 두둑을 높게 만들고, 두둑을 부드럽게 만들어야 덩이뿌리가 잘 형성된다.

 

반대로 고구마는 높은 두둑의 흙이 부드러우면 그 흙을 뚫고 아래로 깊이 들어가서 수확할 때 곡괭이로 힘들게 수확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고추는 적당한 수분과 영양분이 있는 땅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습한 토양에서는 두둑을 약간 높이는 것이 좋고 건조한 토양은 평두둑이 좋다. 그리고 건조한 토양에 고추를 심을 경우는 풀 멀칭을 두텁게 해 주는 것이 좋다.

 

가지는 토양을 가리지는 않지만 약간 습한 토양에서 더 잘 자란다

 

조, 수수, 기장, 메밀 등은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데 산속에서 이들 잡곡을 식량으로 하는 이유가 산으로 올라갈수록 경사져서 척박하기 때문이다.

 

두둑에는 둥근 두둑과 평 두둑이 있는데 둥근 두둑은 뿌리채소에 적당하고, 열매채소나 잎채소는 평두둑을 해야 토양 활용도가 높다

 

척박한 땅에 뿌리 작물을 심으면 파종과 수확시 두 번 손이 가므로 땅을 뒤집는 효과가 난다.

 

뿌리채소인 우엉이나 무를 심은 뒤에 수확하지 않고 땅속에서 썩게 하면 토양의 통기성과 유기물이 확보되어 비옥도가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