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은 우리의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작물 중의 하나로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에는 콩이 들어가지 않는 게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된장, 간장, 고추장 등 모든 음식 요리에 쓰이는 기초 장류에는 콩이 꼭 들어가게 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된장찌개를 비롯해 두부, 콩나물, 콩자반, 녹두전, 콩잎 장아찌 등과 같은 반찬에서부터 밥에 들어가는 밭밑콩과 더 나아가 떡을 만드는 떡고물까지 다양한 꾸미개 재료로도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콩의 원산지는 중국의 동북부와 만주, 한반도 등으로 알려져 있지만 콩의 원조인 야생콩이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이 되고 있어 한반도가 그 중심임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콩에는 단백질 40%, 지방질 20%, 탄수화물이 30%가 들어있어 곡식이라고는 하지만 성분으로 볼 때 거의 고기에 가까워 흔히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콩은 쇠고기를 능가하는 뛰어난 영양성분과 건강 효과를 갖고 있어 고기를 대체할 수 있는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콩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노화와 치매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콩에 들어있는 칼슘은 쇠고기의 8배, 인은 3배, 철분은 11배, 비타민 B1은 10배나 된다고 합니다.
콩 자체가 갖고있는 영양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다양하게 가공해서 먹으면 그 효과가 더욱 배가 되고, 된장이나 간장처럼 발효시킨 음식에는 그 효과가 몇 배로 증가하며, 나물로 키워 먹을 경우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하게 새로 생깁니다.
한반도가 콩의 원산지인 만큼 우리의 콩 종류는 무궁무진할 정도입니다. 미국이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콩만 해도 무려 5,490종이나 되었다고 하며, 그렇게 해서 미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만 3,200종에 이른다고 합니다. 미국은 그렇게 수집해 간 콩으로 다양한 품종을 개발하여 지금은 콩 수출 세계 1위의 나라가 되었습니다.
콩은 우리나라 농사 역사 중에서 가장 오래된 작물일 것이라고 추측을 하는데 그 이유는 콩이 한반도 전역에서 자생하고 있었다는 사실만 보아도 그렇고, 또 오랜 옛날 우리의 조상인 유목민들이 한반도에 들어왔을 때 초지가 부족하여 가축을 기를 수 없는 상황에서 고기를 대체할 음식으로 풍부한 영양을 갖고 있던 콩을 선택했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중요한 이유는 콩이야말로 농사짓기에 가장 쉬운 작물이라는 사실입니다. 콩은 아무런 농기구 없이 손만 갖고도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물론 거름도 필요 없습니다. 콩의 뿌리에는 공기 중의 질소를 거름으로 만드는 뿌리혹박테리아가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만 잘 빠지면 그냥 아무 땅에다 심어서 키우고 탈곡할 때도 막대기로 두드리거나 아니면 돌 같은 데에다 두들겨 패면 쉽게 열매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그것을 먹을 때에도 쌀처럼 번거롭게 껍질을 벗길 일도 없이 날로도 그냥 먹을 수 있으니 그처럼 쉬운 일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토종콩들은 점차 수입콩에 밀려 원산지인 우리나라에서 밀처럼 자취를 잃어버릴 위기에 처한 것이 지금의 현실입니다. 원산지의 명성은 둘째치고 농약에 찌든데다 소위 유전자 조작 콩이라는 아주 위험스러운 수입콩이 우리의 밥상을 차지하고 있으니 실로 답답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콩의 종류
우리나라의 콩은 색깔에 따라서 누런콩, 흰콩, 검정콩, 파랑콩, 새파랑콩, 검은밤콩, 밤콩, 비들기콩, 자주콩, 속푸른콩, 비추콩, 청태, 푸르데콩 등으로 불리고 있고, 무늬별로는 호랑이콩, 수박태, 눈까메기콩, 제비콩, 자갈콩, 대추불콩, 쥐눈이콩, 새알콩, 아주까리콩, 선비밤콩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종자 모양별로는 좀콩, 납작콩, 한아가리콩 등이 있으며 조리용으로는 나물콩, 밥밑콩, 메주콩, 약콩, 떡콩, 고물콩이 있습니다.
파종기나 숙기에 있어서는 40일콩, 올태, 유월태, 서리태, 쉰날거리콩이 있고, 지방명에 따라서는 갑산재래, 금화재래, 청산재래, 정선재래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많은 콩들을 다 일일이 소개할 수 없어 대표적인 메주콩만 소개하기로 합니다. 나머지는 파종 시기와 약간의 관리상의 차이 말고는 대부분 비슷하므로 메주콩을 대표적인 콩 재배 사례로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밭 만들기
메주콩을 심을 밭은 어느 것이나 마찬가지지만 햇빛이 잘 들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라면 좋습니다. 되도록 기름진 땅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콩은 자체적으로 거름을 만들기 때문에 기름진 땅에서는 열매를 많이 맺기보다 덩굴만 무성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밭은 힘들여 이랑을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적당히 물만 잘 빠지게 하면 그 뿐입니다. 농약과 비료를 많이 사용하여 산성화 된 땅은 좋지 않으므로 그럴 때는 석회가루나 숯가루를 뿌려주면 좋습니다. 그러나 산성화가 심각할 정도로 심하지 않으면 걱정할 일은 못 됩니다.
씨뿌리기와 모종 키우기
씨앗은 6월초부터 7월 초까지 뿌립니다. 심을 때는 콩을 3알씩 40~50cm 간격으로 심습니다. 3알을 심는 것은 발아가 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 콩이 두세 포기씩 함께 자라야 열매도 잘 맺히기 때문입니다.
흙을 덮을 때는 모든 종자들과 마찬가지로 항상 씨앗의 3배 두께로 덮어 줍니다. 혹시라도 새들이 피해가 우려되므로 흙을 약간 눌러주듯이 덮고 위에다 낙엽이나 잡초들을 덮어주면 좋습니다. 새 피해가 심한 곳에서는 따로 모종을 내어 옮겨 심어야 하는데 100배 정도로 희석한 목초액에 1시간 정도 담갔다가 직접 심으면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약 4~5일 후에 싹이 나오면 새가 싹을 싹둑 잘라 먹기도 하기 때문에 다시 목초액을 뿌려 줍니다. 좀 늦게 뿌려주고 잘린 싹이 있으면 다시 심어주면 됩니다.
다른 방법은 모종을 내고 차광막을 덮어서 모종을 키우고 모종판에서 일차로 순 지르기를 한 다음 옮겨 심어도 됩니다.
새 피해를 줄이려면
콩을 심을 때 새 피해를 입는다고 하는데, 이는 땅을 갈아서 풀이 전혀 없는 땅에 콩을 심기 때문입니다. 콩 순이 나오면 다른 풀이 없기 때문에 새들이 콩순을 따서 먹게 됩니다. 풀이 있는 밭이라면 새는 콩 순을 먹지 못하는데 이는 미세한 바람에 풀이 흔들리는 것을 감지한 새들은 이 흔들림을 적으로 여겨고 두려워 다가오지 못합니다.
모종을 낼 때에는 비슷한 방식으로 심어서 한 뻠 정도 자랐을 때 뿌리에 흙이 붙은 채로 옮겨 심는 게 좋습니다. 콩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특별히 거름이 필요 없지만 열매를 더욱 많이 얻고 싶다면 인이나 가리 성분의 거름을 주면 좋습니다. 질소 성분의 퇴비는 오히려 넝쿨만 키워주므로 이는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인이나 가리 성분의 비료로는 나무를 태운 재나 숯가루, 쌀겨가 좋은데 전년도에 거둔 콩대를 태워주면 더욱 좋습니다.
가꾸기
콩은 뿌리에 있는 뿌리혹을 이용하여 질소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다른 작물과 섞어서 심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 전통농법에서도 콩은 반드시 다른 작물과 섞어 심도록 장려를 했었는데 특히 퇴비가 많이 필요한 작물 옆이나 전후작으로 콩을 심으면 좋습니다. 콩과 잘 어울리는 작물로는 수수, 옥수수, 고추 등이 있고 두둑을 달리하거나 고랑에 심을 수 있습니다.
콩이 가지를 칠 만큼 어느 정도 자랐을 때는 풀을 메고 북돋아 주기를 합니다. 북주기를 하면 뿌리에 산소를 많이 공급해주어서 좋고 더불어 위에서 새로 나오는 순을 따 주면 위로 자라는 것을 막고 옆으로 가지를 많이 치게 하여 열매를 많이 맺게 됩니다. 풀을 메지 않는 콩 농사를 지으려면 호밀을 심고 난 다음 호밀의 낟알이 익기 전에 베어 넘어뜨려서 멀칭재로 이용하는데 콩을 사이에 심고 호밀을 눕히거나 호밀을 먼저 눕히고 콩을 심으면 됩니다.
모종을 내서 옮겨 심을때는 옮겨심기 전에 순을 따낸 다음에 옮겨 심으면 그 수고를 한번 줄일 수 있습니다. 아주 가물 때는 물 대책을 세워야겠지만, 콩이 발아가 되어 한 뼘 정도 자라면 꼭 장마가 오기 때문에 별 걱정할 필요도 없습니다.
거두기와 갈무리
거둘 때는 첫서리 내리는 10월 하순 상강 이후가 좋습니다. 콩은 서리를 맞아 콩 전체가 샛노래질 때까지 밭에 그냥 내버려 둡니다. 콩은 얼지 않으면 괜찮으므로 서리 맞아 샛노래지는 걸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콩깍지가 벌어지면 낫으로 콩을 벨 때 콩들이 떨어지기 때문에 콩깍지가 벌어지기 전에 거두어 햇빛에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거둘 때는 낫으로 뿌리 윗부분을 베든가, 뿌리째 뽑을 때는흙을 잘 털어야 하는데 이는 탈곡할 때 콩이 흙과 함께 섞이면 나중에 키질하기도 힘들고 고르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콩대 활용방법
콩알을 거두고 난 콩대는 작두로 토막을 내어 흙 위에 깔아 놓고 일부는 다음 해에 태워 거름으로 활용을 하면 좋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콩대 액비를 만들어서 사용해도 됩니다.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큰 통에 콩대를 가득 넣고 물만 가득 채워 주면 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물이 파란색에 가깝게 변하는데 이때부터 사용하면 됩니다. 모종을 키울 때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쓰임새
메주콩의 가장 큰 쓰임새는 역시 된장과 간장을 만들어서 먹는 것이고 그. 다음으로 대표적인 것은 두부가 있습니다. 그리고 싹을 틔워 나물을 해먹을 수도 있고 콩잎으로 장아찌를 담아먹을 수도 있습니다. 콩잎이 약간 노랗게 익었을 때 따서 된장이나 고추장에 담아 삭혀 먹으면 됩니다. 또는 소금물에 담가 삭혔다가 건져서 엿기름과 젓국물과 함께 각종 양념으로 김치를 담가 먹으면 훌륭한 밑반찬이 됩니다.
'토종작물 알아보기 > 곡식류(밀,보리,콩,옥수수,감자,고구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마 수확시기와 저장 방법 (0) | 2024.09.19 |
---|---|
밀과 보리 재배(겨울 땅을 살리는 겨울 농사의 주인공) (8) | 2024.09.13 |
토종 완두콩 수확시기 판단 방법 (0) | 2024.06.01 |
메밀 재배하는 방법 (1) | 2024.04.24 |
제일 먼저 심는 완두콩 재배 방법 (0)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