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종작물 알아보기/곡식류(밀,보리,콩,옥수수,감자,고구마)

올해 심을 토종 감자 소개

by 토종군인농부 2025. 3. 21.

올해 심을 토종감자를 소개해 봅니다.

그 동안 심어왔던 봉화뻘겅감자와 눈뻘게감자, 속자주감자, 자주감자와 올해 처음 재배해보는 임실감자, 지게감자, 강화분홍감자 등 7개의 토종감자와 구매하여 먹던 수미감자를 포함해 8가지 감자를 재배해 보려고 합니다.

 

 

강화분홍감자(SD03201 강화531)

강화분홍감자

껍질이 얇고 옅은 분홍색이고 속은 흰색입니다.

가을감자로 심으면 속이 분홍빛이 돌기도 합니다.

꽃은 보라색을 띠며 눈이 얕습니다.

강화도에서는 늦감자로 5월초에 심는데, 새끼감자가 많이 달리나 수확량은 많지 않습니다.

남쪽에서는 가을 재배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감자가 단단하고 식감은 파근하며 찰기가 있는 점질감자입니다.

작은 새끼 감자는 찰기가 있고 단단하여 조림반찬용으로 좋습니다.

감자 크기는 작지만 막 쪘을 때 포근하고 찰기가 있어 쪄서 먹고 반찬용으로도 좋습니다.

인천지역의 유일한 재래감자로 시어머님으로 부터 물려받아 80년 이상 재배한 감자라고 합니다.

 

봉화 뻘겅감자

봉화뻘겅감자

수확량이 많고 파근파근한 분감자입니다. 시중에 나오는 홍감자와 비슷한 맛입니다.

둥그런 모습이고 껍질은 분홍색이며 속은 노란색, 3개월 정도 후숙하면 단맛이 많아집니다.

울진아가씨가 봉화의 먹을게 여유롭지 않은 집안으로 시집을 왔다고 합니다. 울진에 사는 오빠가 여동생이 먹고살기 어려운 사실을 알고 울진에서 감자를 지게에 지고 봉화까지 와서 여동생에게 전달되어 지금까지 봉화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감자라고 합니다. 

요리할 때 주의할 점은 오래 삶으면 감자 형체가 녹아버리기 때문에 찌듯이 요리를 해야 합니다.

찐 감자, 걸죽한 국물요리, 스르, 밀가루 반죽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속자주감자

속자주감자

껍질과 속살이 모두 자주색입니다. 줄기와 잎에도 자주색이 비칩니다.

꽃은 흰색 꽃잎에 암술은 검보라색을 띠며 꽃이 지면 감자열매가 많이 달립니다.

수분이 많은 감자라서 씨감자로 장기 저장시 잘 상하므로 감자를 충분히 말려서 저장을 해야 합니다.

요리방법은 수분이 많고 아린 맛이 거의 없습니다.

시원하고 아삭한 맛을 즐기기 위해 생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샐러드 등에 보라색 색상을 낼 수 있는 식재료입니다.

 

지게감자

지게감자

겉 껍질이 거칠고 길쭉한 형태로 6.25전쟁 때 미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이 되며 파실한 분감자입니다.

지게처럼 길어서 지게감자라고 불리기도 하고, 수확량이 많아서 지게로 한가득 지고 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합니다.

요리는 쪄먹는 것도 맛이 있으나, 구우면 살이 턱하고 벌어지는 분감자입니다.

감자를 도톰하게 썰어 에어크라이기에 구워도 좋다고 합니다.

 

 

자주감자

자주감자와 한울감자

재배가 쉽고 수확량이 좋다고 합니다. 눈이 깊고 많이 있으며 꽃은 보라색입니다.

쫀득한 점질감자이며 따뜻하면 약간 포실한 감도 있습니다.

옛날에는 돼지감자라고도 불렀다고 합니다.

전국적으로 흔한 토종감자이며 눈이 깊고 많아서 감자 껍질 까기에 대한 애환이 많은 감자라고 합니다.

요리는 찐감자를 식혀 먹으면 쫀득한 식감이 좋습니다.

감자전으로도 식을 때 먹으면 쫀득한 식감이 있으며 생선조림이나 된장국 등에 많이 이용가능합니다.

 

임실감자

임실감자

길쭉하면서 표면이 울퉁불퉁하며 눈이 움푹합니다.

혹 달린 모습이 가끔 나오는데 병은 아닙니다.

거름이 좋으면 수확량이 좋고, 일찍 수확하면 점질감자, 늦게 수확하면 분질감자라고 합니다.

순창에 사는 90여세 할머니가 50년 전에 임실 덕치면에 맛난 감자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곳까지 걸어가 구해왔고 평생을 재배한 감자라고 합니다.

어떤 요리에도 무난하며 맛이 있고 감자의 아린 맛이 없다고 합니다.

 

눈뻘게감자

눈뻘개감자

얕게 들어간 눈이 분홍색이며 타원형에 약간 납작한 모습이며 분홍색 꽃이 핍니다.

홍천지역에서 수집된 감자로 쪘을 때 수분이 많고 흩어지는 식감과 아린맛이 조금 있습니다.

볶아서 먹으면 아린 맛이 없어지고 식으면 쫄깃하고 전분가루가 많이 나오는 특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