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04 갓 재배 방법 갓은 김장김치의 속재료로 널리 쓰여왔음에도 정작 전남 여수의 돌산 갓김치로 유명해졌습니다. 그러나 갓은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채소입니다.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재배해온 것이어서 그 역사가 꽤 깁니다. 갓 김치는 보통의 김치와는 다르게 일반 채소로 담근 김치라기보다는 마치 파 같은 양념 채소로 담근 것처럼 톡 쏘는 맛이 특이 한데, 갓 김치는 보통 김치와 달리 금방 시어지지도 않고 잘 익어야 제맛이 납니다. 그래도 갓은 여전히 김장용 채소로 쓰이는 게 일반적입니다.배추와 무를 다 심고 나서 한 숨 쉬고 심는데 거친 가시와 특유의 맛 때문인지 별 병해충도 없이 스스로 알아서 잘 자랍니다. 재래종 갓재래종 갓은 대부분 사라지고 남부 지방의 강가나 들판에 야생종.. 2024. 9. 9. 양평 단월면 석간수... 양평 지인의 집에 왔다가 가본 석간수...석간수(石間水)는 바위 틈에서 흘러나오는 깨끗한 샘물을 말합니다. 양평군 단월면에 위치한 이곳의 석간수는 소리산과 봉미산의 정기를 받아 지형도 골짜기가 아닌 능선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분출되는 것으로 맥반석 사이에 진참흙이 꽉 들어찬 틈새를 통과하여 지장수 역할도 하는 옹달샘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 석간수는 장기간 보관을 해도 이끼가 끼지않고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고 합니다.이곳은 양평군에서 매월 1회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음용수로서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주변도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네요.석간수를 안전하고 맛있게 먹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도 제시하고 있습니다.첫번째로 찾아가는 약수터 주변 청결은 내가 먼저 실천해 주세요. 약수터에서의 기본 환경 예절이 깨끗.. 2024. 9. 8. 김장무 재배방법 무는 채소 중에서도 음식에 쓰임새가 무척 많아서 배추와 더불어서 가장 많이 먹고 많이 키우는 채소가 아닐까 합니다. 그러니만큼 무는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우리나라 생태에 적응하여 우리 입맛에 맞는 먹거리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무의 원산지는 대체로 지중해의 동쪽 연안과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동으로 넘어와서 중국에서도 재배 역사가 가장 오래된 채소 중의 하나로 기원전 10~6세기의 고서인 시경(詩經)에 무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배추보다 천 년 정도 빠른 통일신라시대에 중국을 통해 처음 들어왔으리라고 추정을 합니다. 이렇듯 무는 가장 재배가 오래된 채소로 조선 전기 농서인 "한정록"에는 '다달이 파종하고 다달이 먹을 수 있는 것이 무이며, 거름지고 가벼운 땅에 재배함이 .. 2024. 9. 8. 김장 무 재배방법 무는 채소 중에서도 음식에 쓰임새가 무척 많아서 배추와 더불어서 가장 많이 먹고 많이 키우는 채소가 아닐까 합니다. 그러니만큼 무는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우리나라 생태에 적응하여 우리 입맛에 맞는 먹거리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무의 원산지는 대체로 지중해의 동쪽 연안과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동으로 넘어와서 중국에서도 재배 역사가 가장 오래된 채소 중의 하나로 기원전 10~6세기의 고서인 시경(詩經)에 무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배추보다 천 년 정도 빠른 통일신라시대에 중국을 통해 처음 들어왔으리라고 추정을 합니다. 이렇듯 무는 가장 재배가 오래된 채소로 조선 전기 농서인 "한정록"에는 '다달이 파종하고 다달이 먹을 수 있는 것이 무이며, 거름지고 가벼운 땅에 재배함이 .. 2024. 9. 6. 쪽파 재배 쪽파는 백합과의 채소로 파와 양파의 교배종으로 원산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우리나라에서 상당히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온 향신료입니다.쪽파는 생김새는 줄기는 작은 대파처럼 생겼고, 뿌리는 작은 양파처럼 생긴 특징이 있으며, 그 성질도 대파와 양파를 합쳐 놓은 것 같습니다.쪽파는 김장배추, 김장무와 더불어 가을 농사의 대표적인 작물로 옥수수, 감자, 쌈채소 등을 재배했던 장소에 이모작으로 파종하는 다비성 작물 입니다. 파종시기쪽파는 생육적온이 15~20℃ 정도 이므로 8월말~9월 초에 파종하는 것이 좋습니다.쪽파를 김장용으로 재배할 경우에는 김장 하기 50일 전에는 파종을 하는 것이 좋고, 추석 전에 수확을 원하는 경우에는 7월말~8월 초에 파종할 수도 있습니다. 밭 만들기파 종류는 거름을 많이 필요.. 2024. 9. 5.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8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