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97

김장 배추 재배 방법 배추는 우리나라 식문화에서 예로부터 김치의 주재료로 쓰이며 가장 많이 먹는 채소 중의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로 쌀과 더불어 그 소비가 줄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밥상의 기본을 이루는 채소가 배추입니다.우리 조상들이 먹던 배추는 애초부터 오늘날과 같이 고갱이가 들어있는 결구형 배추가 아니었습니다. 중국 북부 원산으로자연교잡이 되어 배추의 원시형이 나타났고 그 후 이 원시형으로부터 재배와 선발 육성에 의해 16세기에 반결구 배추, 18세기에 결구배추가 탄생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문헌상으로는 고려 후기에 발간된 향약구급방(1236년)에 숭(菘)으로 처음 등장했다고 하니 재배는 훨씬 전이었을거라 추측은 하지마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배추 파종 시기배추의 파종시기는 모종을 옮겨심어.. 2024. 7. 24.
타타타 타타타(Tathata)는 산스크리트 어(語)로 '본래 그러한 것' 이라는 뜻이랍니다. 한자로는'여여(如如)'라고 표기 한다고도 합니다. 여여는 '어찌하면 어떠하냐' 라는 의미로도 해석 되는데 결국 노래 제목 '타타타'는 '인생이란 본래 그런 것이니 이런들 어떠하랴 저런들 어떠하랴' 는 뜻으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 된다고 하네요. 세월이 가고 나이를 먹을 수록 깨닫게 되는 것이 바로 '인생은 타타타' 라는 사실입니다. 김국환의 노래처럼 '알몸으로 태어나 옷 한 벌은 건진 수지맞은 장사'가 인생인데 우리들은 대부분 '타타타'가 아니라 '탓탓탓'으로 살아갑니다. 부모 탓, 친구 탓, 상사(上司) 탓, 부하 탓, 시간 탓, 돈 탓을 하며 한탄과 원망으로 살아갑니다. 그러나 인생은 '타타타'입니다. "사람들은 슬픈.. 2024. 7. 13.
내가 만드는 정답(正答) 다들 말합니다. "인생(人生)엔 정답(正答)이 없다"고, 그러나 아버지는 늘 말했습니다. "인생(人生)엔 정답(正答)이 있다"고, "그 정답은 자기가 쓰는 것이라고..." "장사하는 사람은 부지런히 새벽에 일어나 준비(準備)하고, 손님이 오면 강아지 처럼 뛰어나와 반기면 장사는 잘 된다" 고 했습니다. "그 사람의 내일(來日)이 궁금하다면 오늘 어떻게 사는 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늘 어떻게 사느냐가 내일(來日)의 답(答)" 이라는 것입니다. 아버지가 가장 많이 하신 말씀, "좋은 날만 계속되면 건조해져서 못써, 햇볕만 늘 쨍쨍해 봐라. 그러면 사막이지, 비도 오고 태풍(颱風)도 불어야 나쁜 것도 걸러지는 거야." "인생에서 가장 견디기 힘든 시기는 나쁜 날씨가 이어질 때가 아니라 구름 한 점 없는 날.. 2024. 7. 8.
삶이란? 독일(獨逸) 민요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나는 살고 있다. 그러나 나의 목숨 길이는 모른다.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았느냐가 중요하고 몇 살인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만큼 나이 값을 하며 올바로 살고 곱게 늙어 가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문제는 나이 값이다. 고희(古稀) 70이 넘으면 많은 사람이 이렇게 말합니다. 추하게 늙고 싶진 않다고 하지만 현실은 바람 (所望)과 다릅니다. 예순이 넘고 일흔이 지나 여든이 되면서 외로워지고 자기 삶에 만족할 수 없는 사람이 많아집니다. 이에 괴테는 노인의 삶을 네 개의 상실(喪失)이라는 단어로 표현을 했습니다. 건강, 일, 친구, 꿈을 가지고 죽을 때까지 우아하고 기품있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건강 : 어떤 명예와 지.. 2024. 7. 1.
밭에서 나는 고기, 콩(메주콩) 재배 방법 콩은 우리의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작물 중의 하나로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에는 콩이 들어가지 않는 게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된장, 간장, 고추장 등 모든 음식 요리에 쓰이는 기초 장류에는 콩이 꼭 들어가게 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된장찌개를 비롯해 두부, 콩나물, 콩자반, 녹두전, 콩잎 장아찌 등과 같은 반찬에서부터 밥에 들어가는 밭밑콩과 더 나아가 떡을 만드는 떡고물까지 다양한 꾸미개 재료로도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콩의 원산지는 중국의 동북부와 만주, 한반도 등으로 알려져 있지만 콩의 원조인 야생콩이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이 되고 있어 한반도가 그 중심임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콩에는 단백질 40%, 지방질 20%, 탄수화물이 30%가 들어있어 곡식이라고는 하지만 성분으로 볼 때 거의 고기에 가까워 흔히.. 2024. 6. 28.
반응형